재원 (181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원은 아이신 교로 씨족 출신으로, 청나라 도광제 치세에 관료로 시작하여 함풍제 치세에 종인부 대신과 황실 친위대 사령관을 역임했다. 1860년 제2차 아편 전쟁 중 평화 협상에 참여했으나 실패하고, 영국 대표단이 인질로 잡히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함풍제를 따라 피신했으며, 공친왕이 베이징 조약을 체결하여 사태를 수습했다. 함풍제 사후 섭정으로 임명되었으나, 신유정변으로 실각하여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친왕 - 윤상 (청나라)
윤상은 강희제의 아들이자 옹정제의 측근으로, 옹정제 치세 동안 청나라의 최고 실권자였으며, 옹정제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군기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다 45세에 사망했다. - 이친왕 - 이친왕 (怡)
이친왕은 청나라 황족 작위로, 옹정제의 측근 윤상이 1대 이친왕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이 대를 이었으나 10대 육치를 마지막으로 단절되었다. - 강제로 자살한 중국 사람 - 태평공주
태평공주는 당 고종과 측천무후의 딸로, 무측천 시대부터 현종 시대까지 정치에 깊이 관여하며 권력을 행사했지만, 현종과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강제로 자살한 중국 사람 - 사마륜
사마륜은 서진의 황족으로, 조카인 진 혜제를 폐위하고 황제에 올랐으나 3개월 만에 반란으로 체포되어 자결하며 서진의 혼란을 가중시켰다. - 가족 살해자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가족 살해자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재원 (181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자이위안 (載垣) |
다른 이름 | 이친왕 (怡親王) |
만주어 | (Dzai Yūwan) |
신분 | |
작위 | 화석이친왕 (和碩怡親王) |
생애 | |
출생 | 1816년 |
출생지 | 베이징 |
사망 | 1861년 |
사망지 | 베이징 |
가족 | |
아버지 | 익훈 (奕勛) |
어머니 | 리씨 (李氏) |
배우자 | 나라씨 (那拉氏), 방씨 (方氏) |
정치 경력 | |
주요 직책 | 8대 섭정대신 |
재위 기간 | 1861년 8월 22일 – 1861년 11월 |
통치자 | 함풍제 |
임명 | 함풍제에 의해 임명 |
가문 | |
가문 | 아이신 교로 |
이친왕 가문의 수장 | 1825년 – 1861년 |
이전 | 자이팡 (이친왕으로서) |
이후 | 자이타이 (부루 바펀 푸궈 공(buru bafen fuguo gong)으로서) |
2. 생애
1861년 9월 10일부터 11월 8일까지 청나라 제10대 황제 동치제의 섭정을 지냈다. 그러나 황족 종실 원로였던 친가 방계 족조부 이혁정친왕(已革鄭親王)의 모략으로 섭정 취임 2개월 만에 음독 자살했다. 그의 사후 섭정 직위는 그를 축출한 친가 방계 족조부 이혁정친왕(已革鄭親王)이 이어받았다.
2. 1. 초기 생애 및 관직 생활
재원은 아이신 교로 씨족 출신으로, 강희제의 13번째 아들인 이현친왕 윤상(1686–1730)의 후손이다. 1837년 도광제 치세에 청 제국 종실 관료직에 출사하였다. 1852년에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작위인 "일등 이친왕"을 상속받았다.함풍제 (재위 1850–1861) 치세 동안 재원은 종인부의 대신 및 황실 친위대 사령관 등 중요한 직책을 맡았다.
2. 2. 제2차 아편 전쟁과 강화도 조약
제2차 아편 전쟁 중이던 1860년, 재원은 무인과 함께 통주에서 영국 및 프랑스 관리들과 평화 협상을 진행했으나 실패했다. 협상 결렬 후, 몽골 장군 승격린심은 해리 스미스 파크스, 헨리 로크 등 영국 대표단을 인질로 잡았고, 이들 대부분은 고문과 질병으로 사망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영국군과 프랑스군은 원명원을 약탈하고 불태웠다. 당시 재원은 함풍제를 따라 허베이성 청더 피서산장으로 피신했다. 이후 공친왕 奕訢이 영국, 프랑스, 러시아와 베이징 조약을 체결하여 전쟁을 종결지었다.2. 3. 섭정 임명과 신유정변
1861년 함풍제가 사망하기 전, 재원은 숙순, 단화 등 5명과 함께 동치제를 보좌할 섭정으로 임명되었다. 그 해 말, 공친왕은 자안 태후와 서태후의 지원을 받아 신유정변을 일으켜 8명의 섭정으로부터 권력을 빼앗았다. 재원은 체포되어 투옥되었고, 흰색 비단 천 조각을 받아 그것으로 목을 매 자살하라는 명을 받았다. 재원이 죽은 후, 이친왕 작위는 그의 먼 친척 중 한 명인 재돈에게 상속되었다.3. 가족 관계
배우자 | 자녀 |
---|---|
나라 씨 (嫡福晋那拉氏) | |
팡지야 씨 (侧福晋方佳氏) |
3. 1. 본처
- 본처 나라 씨족 출신 (嫡福晋那拉氏)
- * 장녀: 삼품 군주 (郡主, 郡主|군주중국어; 1838년 5월 18일 출생)
- ** 1852년 호르친 보르지기드 씨족 출신 보이아나모후와 혼인
- * 차녀: (1839년 7월 19일 - 1840년)
- * 삼녀: (1843년 5월 25일 출생)
- ** 1863년 보르지기드 씨족 출신 다르마와 혼인
3. 2. 측실
- 측실: 팡지야 씨족 (侧福晋方佳氏)
- * 사녀: 1867년 우랑하이 씨족 출신 시링가와 혼인
- * 오녀: 1853년 5월 20일 출생
- * 육녀: 1874년 우랑하이 씨족 출신 놀라상 왕부와 혼인
4. 친척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